EDU

전쟁과 평화 그리고 커피

Google+ Pinterest LinkedIn Tumblr

1865년 4월, 피바람 부는 미국 남북 전쟁이 끝나갈 무렵 북군 Ebenezer Nelson Gilpin은 그의 일기에 이런 말을 적었다:

“모든 것이 혼란스럽다. 긴장감을 견딜 수 없을 정도다. 보급품이 전보다 4분의 1 줄었으며 커피 보급 자체가 끊겼다. 커피 없이는 임무 수행이 불가능하다.”

문구에도 짐작할 수 있듯이 커피는 전쟁을 치른 미국 군인들에게 커피는 없어서는 안될 보급품이었다.

전쟁이 지옥이었다면, 커피는 전쟁을 치르는 병사들에게 조그마한 구원의 손길을 내밀어 준 음료였기 때문이다.

오늘 이 기사를 통해 미국이 치른 다음 3가지 전쟁에서 커피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아보자남북 전쟁베트남 전쟁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전쟁


 

북 전쟁

커피를 즐기고 있는 북군의 병사들. (사진 출처: NPR)

미국 역사 박물관의 큐레이터 존 그린스팬(Jon Grinspan)은 박물관에 보관된 군인들의 일기를 읽다가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전쟁, 자유, 노예제도, 독립, 통일 등의 주제가 남북 전쟁에 참전한 군인들의 일기에 자주 나올 것 같지만 실상은 다르다.

그린스팬은 “그들의 일기장을 통해 큰 뉴스거리를 찾았어요. 하지만 많은 이들이 아침에 마신 커피나 아침에 마시고 싶은 커피에 관해 적었어요.” 라고 말했다.

조사 결과 ‘커피’ 라는 단어는 ‘전쟁,’ ‘총알,’ ‘대포,’ ‘노예,’ ‘어머니,’ ‘링컨’ 보다 더 많이 언급되었다.

“커피 없이는 이야기가 안될 정도예요.” 라고 그린스팬이 말했다.

정부는 북군에게 매년 36파운드(약16kg)의 커피를 매년 제공했다. 군인들은 매일 언제 어디서나 커피를 만들어 마셨다. (휴대용 물통에서부터 물웅덩이에서까지 커피를 만들 물을 얻는 방법은 다양했다.)

커피를 분배하는 군인들 (사진 출처: Kitchen Sisters)

“군인들은 행진 전 후, 순찰을 돌 때, 심지어 교전 중에도 커피를 마셨습니다.” 라고 그리스팬이 설명했다.

반면 남군의 병사들은 북군보다 커피를 자주 마시지 못했다. 전쟁이 시작되자마자 북군은 남부 쪽의 항구를 막고 남부의 커피 제공 경로를 차단했기 때문이다.

담배와 남부 음식을 가지고 있는 반면 북군은 커피를 손에 쥘 수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전투가 없을 때 남군과 북군은 몰래 접선하여 물품을 교환하기도 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커피가 간절한 남군은 밀, 쌀, 고구마 또는 사탕무를 카라멜화 될 때까지 로스팅하여 커피 대체 음료로 만들어 마시기도 했다.

그들이 만든 음료에는 카페인이 함유되지는 않았지만 따뜻한 갈색의 음료는 그들에게 큰 위안이 되었다.

자료에 따르면 북군의 대장 벤자민 버틀러(Benjamin Butler)는 북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로 카페인을 꼽았다.

버틀러 대장은 군인들이 물통에 커피를 넣어 다니게 했으며 그들이 가장 흥분한 상태일 때 공격을 지시했다.

그는 다른 부대 대장들에게 이러한 조언을 했다: “당신의 병사들이 이른 아침에 커피를 마신다면,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을 것이다.”

전쟁을 치르는 동안 북군의 수는 늘어갔고 더 나아가 그들의 부대는 수십만의 사람들이 사는 임시 도시가 되었다.

“그들은 1년에 1~2주간의 전투를 치뤘어요. 전투 중 항상 적을 향해 총을 쏘고 추격전을 벌이진 않았지만 커피를 매일 만들어 마셨어요.” 라고 그리스팬이 말했다.

커피의 인기는 발명으로 이어졌다. 1859년 Sharps Rifle사는 총 끝에 커피 그라인더를 탑재한 소총을 발명했다.

그라인더를 탑재한 소총. (사진 출처: Springfield Armory National Historic Site )

북군들은 원두를 소총에 탑재된 그라인더로 갈아 커피를 만들어 마셨다.

아침마다 북군의 부대는 캠프파이어를 연상시켰으며 수많은 군인들이 동시에 원두를 그라인딩 하는 소리가 부대에 울려 퍼졌다고 한다.

그린스팬은 “아이러니한 것은 북군은 노예제도를 끝내기 위해 전쟁에 참여했으나 정작 그들에게 힘을 준 커피는 브라질의 노예들이 재배했다는 거죠.”


베트남 전쟁

커피를 즐기고 있는 베트남 참전 용사들. (사진 출처: Pinterest)

커피가 남북 전쟁 중 북군의 승리를 이끌었다면 베트남 전쟁 중에는 미군인들의 반전운동을 도왔다.

60년대 말~70년대 초 사이 베트남 전쟁을 마치고 돌아온 미군인들은 전쟁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그즈음 부대 밖의 군인 밀집 지역에는 군인들을 위한 GI 커피하우스들이 생기기 시작했고 군인들에게는 이곳이 중요한 모임 장소가 되었다.

데이비드 자이거 (David Zeiger)는 1970년대 초 텍사스 킬렌 지역에 위치한 GI 커피하우스 ‘올레오 스트럿(Oleo Strut)’ 를 3년간 운영했다.

“올레오 스트럿은 헬리콥터 착륙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우리 카페는 베트남 전쟁에 참여한 병사들이 받은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안식처가 되어주고 싶었어요.” 라고 자이거가 말했다.

GI 커피 하우스 ‘Oleo Strut’ (사진 출처: 구글)

현재 영화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는 자이거는 ‘Sir, No Sir’ 다큐멘터리를 통해 미군의 반전운동과 올레오 스트럿 카페에 대해 다뤘다.

1963년 예비군인 하버드 출신 프레드 가드너(Fred Gardner)는 1967년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수도 콜롬비아에 최초의 GI 커피하우스인 ‘UFO’ 를 오픈했다.

UFO는 미군인들이 모임을 하는 장소의 용도로 세워졌다.

“UFO는 군인들이 편안한 장소에서 근심 걱정을 털어놓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했어요. 나중에 가서는 백인부터 흑인까지, 학생에서 군인까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가 되었어요.” 라고 가드너가 회상했다.

GI 커피 하우스 포스터 (사진 출처: 구글)
GI 커피하우스 ‘UFO’가 만든 포스터 (사진 출처: 구글)

그 후 군인들을 위한 카페가 속속히 생겨나기 시작했다. 1971년대에 들어서 워싱턴주, 캘리포니아주 등 전국에 약 20개 이상의 GI 커피하우스가 세워졌다.

반전운동이 한창 절정에 이르렀을 때, 미군들은 GI 커피하우스에서 법률 상담과 전쟁 반대 시위 참여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많은 카페들이 자체적으로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고 영창에서 군인들이 비인간적인 취급을 당하는 것 등을 폭로했으며 시위가 언제 어디서 시작되는 지에 대한 정보가 신문에 실렸다.


아프가니스탄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한 해리슨 수아레즈 (Harrison Suarez)와 마이클 해프트 (Michael Haft). 그들은 워싱턴 D.C.에 컴퍼스 커피를 세웠다. (사진 출처: 구글)

“전쟁은 커피로 인해 돌아갑니다. 특히 해병대에서요. 마치 종교적 의식같죠.” 라고 워싱턴 D.C.의 컴퍼스 커피 공동설립자 해리슨 수아레즈 (Harrison Suarez)가 말했다.

수아레즈와 그의 파트너 마이클 해프트(Michael Haft)는 해병대 복무 당시 커피를 마시면서 친해졌다. 이 계기로 그들은 제대 후 ‘컴퍼스 커피(Compass Coffee)’ 를 공동으로 설립하게 되었다.

“커피를 마시면서 지도와 나침반(컴퍼스)으로 어떻게 항해하는지 함께 배웠어요.” 라고 수아레즈가 말했다.

수아레즈는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진행된 첫 훈련 때 해프트에게 ‘어이 친구 커피 한 잔 할래?’ 라고 물었죠. 이것이 보통 해병대에서 새 친구를 만드는 방법이에요.” 라며 그때 당시를 회상하며 말했다.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수아레즈와 해프트는 제 1대대로 배치되었다. 거기서 그들이 맡은 임무 중 하나는 지역 경찰대를 세우는 것이었다.

그들은 아프가니스탄 경찰들과 커피를 통해 친해지려고 노력했지만 헛수고였다.

“우리는 그들에게 커피를 권할 때마다 퇴짜를 맞았어요. 아프가니스탄 문화는 차를 마시는 문화였기 때문이죠.” 라고 해프트가 말했다.

그들은 그 특정 지역 문화를 이해하고 커피 대신 차를 권하기 시작했다.

수아레즈는 “어떤 음료를 마시던지 간에 함께 모여 따뜻한 음료를 마시면서 함께 지역 사회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지 토의를 할 수 있었습니다.” 라고 말했다.

하지만 커피는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된 해병들에게 큰 부분을 차지했다. 그들은 아침에 커피를 만들어 마시며 하루 일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워싱턴 D.C.의 컴퍼스 커피 (사진 출처: 구글)

100년 전에도 그렇고 지금도 그 전통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수아레즈와 해프트는 파병 후 고향으로 돌아온 뒤에도 커피에 대한 생각을 버리지 못했다.

해프트는 “파병된 모든 사람들이 집으로 돌아온 후 무언가 한가지에 깊이 빠지게 됐어요. 우리 같은 경우는 커피죠.” 라고 말했다.

완벽한 커피를 만들기 위해 그들은 먼저 커피에 관련된 책을 출판했으며 그 다음에는 워싱턴 D.C.에 ‘로스터리 카페인 컴퍼스 커피’ 를 세웠다.

그들은 그들이 처음 커피를 접하고 커피에 대한 열정을 키운 그 당시를 잊지 않았다.

해프트는 “우리는 지금도 아프가니스탄 부대에 있는 해병대원들에게 커피를 보내주고 있어요. 해병대원들이 어떠한 주문을 한다 해도 그들의 요구에 맞춰 주려고 노력하죠.” 라고 말했다.

그들의 사업은 빠르게 확장되었다. 현재 캠퍼스 커피는 전국에 지점을 냈다. 또한 몇몇의 동네 슈퍼마켓에서도 그들이 로스팅한 시그니처 원두도 구매 가능하다.

수아레즈는 “커피는 남북 전쟁에서부터 우리가 참전한 아프가니스탄 전쟁까지 미국이 참여한 전쟁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커피는 사람들을 한 곳으로 불러 모으는 힘이 있고 그들의 경험을 나눌 수 있는 중요한 자리를 만들어 주는 것 같습니다.” 라며 캠퍼스 커피를 마시며 말했다.

기사 인용 링크: http://www.npr.org/sections/thesalt/2016/07/25/485227943/if-war-is-hell-then-coffee-has-offered-u-s-soldiers-some-salvation 

바리스타뉴스는 커피 전문 웹 매거진입니다. 국내외 커피 이슈는 물론, 각종 커피상식, 카페운영 노하우 등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합니다. 바리스타뉴스 컨텐츠의 무단 배포 및 수정, 복사를 금합니다.

댓글 남기기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